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자가진단에서 미리 체크해봅시다! VDT 증후군 예방
    카테고리 없음 2021. 12. 7. 19:49

    코로나 바이러스로 재택 근무와 온라인 수업이 일상화됨에 따라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 사용 시간도 증가했습니다. 이 때문에 디지털 질환인 VDT 증후군을 호소하는 사람도 늘고 있습니다. 오늘은 VDT 증후군을 자가 진단하는 방법과 예방법, 증상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VDT 증후군이란 정확히 무엇인가요?

    Video Display Terminal의 줄임말인 VDT 증후군은 디지털 기기를 장시간 사용할 때 각종 신체에 나타나는 장애를 말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목, 어깨, 팔, 손 등 신체에 생기는 저림이나 결림 증상, 통증이 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VDT 증후군으로 내원한 환자를 분석한 결과 근막통 증후군이 가장 많았고, 안구건조증, 딱정벌레 증후군, 손목터널 증후군이 뒤를 이었습니다. VDT 증후군은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환경이나 자세 습관 등을 개선하지 않으면 치료 후에도 재발하기 쉬워집니다.

    ◆ VDT 증후군의 원인

    잘못된 자세 습관으로 인해 컴퓨터 사용 모니터의 위치가 눈높이와 맞지 않을 때 반복적인 작업, 긴 작업시간과 미흡한 휴식, 건조한 실내 환경, 건강관리, 미흡한 시간, 전자기기 사용이 많은 현대인에게 흔히 발생하는 질환, VDT 증후군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장시간 잘못된 자세로 업무를 할 경우 키보드와 마우스 등의 반복 작업, 오염된 실내 공기, 불충분한 휴식, 오랜 작업 시간 등을 들 수 있습니다.

    VDT증후군 자가진단 테스트*3개 이상 해당하는 경우 의심하세요. *손,손목 주변 통증이나 손가락 저림을 반복하는 눈 주변이 간지럽고 열감을 느낀다 목,어깨가 뻣뻣하고 뻐근한 느낌이 있는 머리가 항상 무겁고 아프다 피로를 잘 느낀다 등이 둥글게 되고 목이 앞으로 나온 느낌이 든다 눈이 충혈되어 있어서 자주 눈물이 난다

    ◆VDT 증후군의 대표적인 질병 - 근막통증후군 손목터널증후군 안구건조

    VDT 증후군의 대표적인 질병 근막통 증후군과 손목 터널 증후군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근막통증후군은 근육 또는 근막(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얇은 막)을 누르면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어깨나 목 주변에 자주 나타납니다. 근육의 과도한 사용, 자세 이상, 외상 등이 원인입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은 손가락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정중신경이 손목터널(수근관)에 눌려 손가락 저림, 감각저하, 무지구근육 약화 등을 일으킵니다. 오랫동안 손목을 구부리거나 펴는 자세를 피하는 것이 좋으며, 손목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도 삼가 주십시오. 손목 통증이나 손 저림을 느낄 경우에는 안정을 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안구 건조증은 눈물의 분비가 감소하거나 눈물이 정상보다 빨리 증발하여 보호막 작용과 윤활 기능이 저하되는 증상을 말합니다.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면 눈 깜빡임의 횟수가 줄어들고, 눈 깜빡임의 긴장이 지속되어 피로도가 높아집니다만. 화면과의 거리를 40~50cm 정도 유지하고, 밝기를 너무 밝게 하지 않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 VDT 증후군 치료 방법

    어깨, 목, 허리, 팔, 다리 등 근골격계에 심한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한방치료가 효과적입니다. 증상에 따라 맨손 치료, 근막이완 치료 등이 병행될 수도 있습니다. VDT 증후군 환자의 가장 많은 통증을 줄이기 위해 침, 뜸, 부항, 약침요법 등이 처방되고 있습니다.

    한의사가 환자의 신체에 효과적인 자극을 주고 구조적, 기능적인 문제를 개선하는 추나요법은 긴장된 근육을 과도하게 풀어 불균형한 신체를 바로 정렬하고 다발성 통증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한약은 염증과 붓기를 가라앉혀 통증을 줄이고 근육과 인대를 강화시켜 재발을 방지합니다.

     

     

    ◆ VDT 증후군 예방법

    VDT 증후군을 예방하려면 가능한 한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일상 생활 속에서 예방하는 노력이 더욱 중요합니다:)

    1시간에 최소 10분 이상 충분히 휴식을 취하고 틈틈이 가벼운 스트레칭을 실천합니다. 의자에 앉을 때는 등받이에 엉덩이를 의자 끝까지 밀어 허리를 곧게 펴고 모니터는 눈높이보다 15도 아래, 무릎 각도는 90도를 유지합니다.

    다른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해 주십시오.^^ 빠른 답변 도와드리겠습니다!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불당34길 25-23~5F

    댓글

Designed by Tistory.